<청춘> 격정적으로 사는 것

밤을 새고 공부한 다음 날 새벽에 느꼈던 생생한 환희와 야생적인 즐거움을 잊을 수 없다

분류 전체보기 101

[백준] 2667번 : 단지번호붙이기 / DFS / 파이썬 Python

단지번호붙이기 성공출처분류 시간 제한메모리 제한제출정답맞은 사람정답 비율 1 초 128 MB 84690 34851 22044 39.265% 문제 과 같이 정사각형 모양의 지도가 있다. 1은 집이 있는 곳을, 0은 집이 없는 곳을 나타낸다. 철수는 이 지도를 가지고 연결된 집의 모임인 단지를 정의하고, 단지에 번호를 붙이려 한다. 여기서 연결되었다는 것은 어떤 집이 좌우, 혹은 아래위로 다른 집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대각선상에 집이 있는 경우는 연결된 것이 아니다. 는 을 단지별로 번호를 붙인 것이다. 지도를 입력하여 단지수를 출력하고, 각 단지에 속하는 집의 수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 번째 줄에는 지도의 크기 N(정사각형이므로 가로와 세로의 크기는 같으며 5≤N..

[파이썬 Python] 정렬 라이브러리 / sorted() , sort() , key 값

sorted() 파이썬은 기본 정렬 라이브러리인 sorted() 함수를 제공한다. sorted() 는 병합 정렬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는데, 병합 정렬은 일반적으로 퀵 정렬보다 느리지만 최악의 경우에도 시간 복잡도 O(NlogN)을 보장한다는 특징이 있다. sorted() 함수는 정렬된 결과를 리스트 자료형으로 반환한다. 파이썬은 병합 정렬과 삽입 정렬의 아이디어를 더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정렬 알고리즘을 사용하고 있다. sort() 리스트 객체의 내장함수인 sort() 는 리스트 변수가 하나 있을 때 내부 원소를 바로 정렬한다. 이를 이용하면 별도의 정렬된 리스트가 반환되지 않고 내부 원소가 바로 정렬된다. array = [ 7, 5, 9, 0, 3, 1, 6, 2, 4, 8] # sorted() 정렬 : ..

파이썬 Python 2021.06.15

[알고리즘] 정렬 (Sorting) / 코드 Python / 선택정렬, 삽입정렬, 퀵정렬, 계수정렬

정렬 (Sorting) 정렬이란 데이터를 특정한 기준에 따라서 순서대로 나열하는 것을 말한다. 선택 정렬 (Selection Sort) 선택 정렬은 여러 개의 데이터가 있을 때, 가장 작은 데이터를 선택해 맨 앞에 있는 데이터와 바꾸고, 그다음 작은 데이터를 선택해 앞에서 두 번째 데이터와 바꾸는 과정을 반복해서 전체 데이터를 정렬하는 알고리즘이다. 매번 가장 작은 것을 선택 한다는 의미에서 선택 정렬이라고 한다. 예) 데이터의 개수 N = 4 빨간색 - 가장 작은 데이터 초록색 - 정렬 완료된 데이터 step1 6 2 8 4 step2 2 6 8 4 step3 2 4 8 6 step4 2 4 6 8 이처럼 선택 정렬은 가장 작은 데이터를 앞으로 보내는 과정을 N-1번 반복하면 정렬이 완료된다. 선택 정..

[백준] 2606번 : 바이러스 / DFS / 파이썬 Python

바이러스 성공출처분류 시간 제한메모리 제한제출정답맞은 사람정답 비율 1 초 128 MB 65458 30058 20617 44.866% 문제 신종 바이러스인 웜 바이러스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파된다. 한 컴퓨터가 웜 바이러스에 걸리면 그 컴퓨터와 네트워크 상에서 연결되어 있는 모든 컴퓨터는 웜 바이러스에 걸리게 된다. 예를 들어 7대의 컴퓨터가 과 같이 네트워크 상에서 연결되어 있다고 하자. 1번 컴퓨터가 웜 바이러스에 걸리면 웜 바이러스는 2번과 5번 컴퓨터를 거쳐 3번과 6번 컴퓨터까지 전파되어 2, 3, 5, 6 네 대의 컴퓨터는 웜 바이러스에 걸리게 된다. 하지만 4번과 7번 컴퓨터는 1번 컴퓨터와 네트워크상에서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어느 날 1번 컴퓨터가 웜 바이러스에 걸..

[백준] 1260번 : DFS와 BFS / 파이썬 Python

문제 그래프를 DFS로 탐색한 결과와 BFS로 탐색한 결과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단, 방문할 수 있는 정점이 여러 개인 경우에는 정점 번호가 작은 것을 먼저 방문하고, 더 이상 방문할 수 있는 점이 없는 경우 종료한다. 정점 번호는 1번부터 N번까지이다. 입력 첫째 줄에 정점의 개수 N(1 ≤ N ≤ 1,000), 간선의 개수 M(1 ≤ M ≤ 10,000), 탐색을 시작할 정점의 번호 V가 주어진다. 다음 M개의 줄에는 간선이 연결하는 두 정점의 번호가 주어진다. 어떤 두 정점 사이에 여러 개의 간선이 있을 수 있다. 입력으로 주어지는 간선은 양방향이다. 출력 첫째 줄에 DFS를 수행한 결과를, 그 다음 줄에는 BFS를 수행한 결과를 출력한다. V부터 방문된 점을 순서대로 출력하면 된다. ..

[DFS/BFS] 실전 문제 <4> 미로 탈출 /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테스트다 with 파이썬 / 파이썬 Python

미로 탈출 동빈이는 N X M 크기의 직사각형 형태의 미로에 갇혀 있다. 미로에는 여러 마리의 괴물이 있어 이를 피해 탈출해야 한다. 동빈이의 위치는 (1, 1) 이고 미로의 출구는 (N, M)의 위치에 존재하며 한 번에 한 칸씩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괴물이 있는 부분은 0으로, 괴물이 없는 부분은 1로 표시되어 있다. 미로는 반드시 탈출할 수 있는 형태로 제시된다. 이때 동빈이가 탈출하기 위해 움직여야 하는 최소 칸의 개수를 구하시오. 칸을 셀 때는 시작 칸과 마지막 칸을 모두 포함해서 계산한다. 입력 조건 첫째 줄에 두 정수 N, M (4 = m: continue # 괴물이 있는 경우 무시 if graph[nx][ny] == 0: continue # 해당 노드를 처음 방문하는 경우에만 최단 거리 기..

코딩테스트 2021.06.10

[DFS/BFS] 실전 문제 <3> 음료수 얼려 먹기 /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테스트다 with 파이썬 / 파이썬 Python

음료수 얼려 먹기 N X M 크기의 얼음 틀이 있다. 구멍이 뚫려 있는 부분은 0, 칸막이가 존재하는 부분은 1로 표시된다. 구멍이 뚫려 있는 부분끼리 상, 하, 좌, 우로 붙어 있는 경우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때 얼음 틀의 모양이 주어졌을 때 생성되는 총 아이스크림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다음의 4 x 5 얼음 틀 예시에서는 아이스크림이 총 3개 생성된다. 00110 00011 11111 00000 0 0 1 1 0 0 0 0 1 1 1 1 1 1 1 0 0 0 0 0 입력 조건 첫 번째 줄에 얼음 틀의 세로 길이 N과 가로 길이 M이 주어진다. (1

코딩테스트 2021.06.10

[파이썬 Python] 탐색 알고리즘 : DFS (깊이 우선 탐색) / BFS (너비 우선 탐색)

탐색 (Search) 탐색이란 많은 양의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 과정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탐색 알고리즘으로는 DFS, BFS 가 존재하는데,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스택, 큐, 재귀함수를 알아야 한다. 참고 2021.05.27 - [자료구조] - [자료구조] 자료구조 기초 : 스택 / 큐 / 재귀함수 [자료구조] 자료구조 기초 : 스택 / 큐 / 재귀함수 탐색 (Search) 탐색이란 많은 양의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 과정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탐색 알고리즘으로는 DFS, BFS 가 존재하는데,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스택, 큐, 재귀함수를 알 devmath.tistory.com 참고 2021.05.27 - [자료구조] - [자료구조] 그래프 (Graph) [자료구조] 그래프 ..

[자료구조] 그래프 (Graph)

그래프 (Graph) 그래프는 노드(Node) 와 간선(Edge)으로 표현된다. 노드 (Node) : 정점(Vertex) 간선 (Edge) : 정점과 정점을 연결하는 선 그래프 탐색 그래프 탐색이란 하나의 노드를 시작으로 다수의 노드를 방문하는 것이다. 두 노드가 간선으로 연결되어 있다면 ' 두 노드는 인접하다 ' 라고 표현한다. 프로그래밍에서 그래프는 크게 2가지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인접 행렬 (Adjacency Matrix) 인접 리스트 (Adjacency List) 인접 행렬 (Adjacency List) 인접행렬 방식은 2차원 배열로 그래프의 연결 관계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파이썬에서는 2차원 리스트로 구현한다. 노드 사이의 간선이 가진 값은 가중치라고한다. 자기자신끼리는 가중치가 0이고,..

[자료구조] 자료구조 기초 : 스택 / 큐 / 재귀함수

자료구조 (Data Structure) 자료구조란 데이터를 표현하고 관리하고 처리하기 위한 구조를 의미한다. 대표적으로는 스택, 큐가 존재하는데, 삽입, 삭제 두 핵심 함수로 구성된다. 삽입 (Push) : 데이터를 삽입 삭제 (Pop) : 데이터를 삭제 오버플로 (Overflow) : 특정 자료구조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이미 가득 찬 상태에서 삽입 연산을 수행할 때 발생한다. 즉, 저장공간보다 데이터가 많을 때 발생한다. 언더플로 (Underflow) : 특정 자료구조에 데이터가 전혀 들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삭제 연산을 수행할 때 발생한다. 스택 (Stack) 스택은 한 쪽 끝에서만 데이터 삽입/삭제가 가능한 선입후출 구조(LIFO - Last In First Out)으로 되어 있다. 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