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춘> 격정적으로 사는 것

밤을 새고 공부한 다음 날 새벽에 느꼈던 생생한 환희와 야생적인 즐거움을 잊을 수 없다

전체 글 101

[DFS/BFS] 실전 문제 <4> 미로 탈출 /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테스트다 with 파이썬 / 파이썬 Python

미로 탈출 동빈이는 N X M 크기의 직사각형 형태의 미로에 갇혀 있다. 미로에는 여러 마리의 괴물이 있어 이를 피해 탈출해야 한다. 동빈이의 위치는 (1, 1) 이고 미로의 출구는 (N, M)의 위치에 존재하며 한 번에 한 칸씩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괴물이 있는 부분은 0으로, 괴물이 없는 부분은 1로 표시되어 있다. 미로는 반드시 탈출할 수 있는 형태로 제시된다. 이때 동빈이가 탈출하기 위해 움직여야 하는 최소 칸의 개수를 구하시오. 칸을 셀 때는 시작 칸과 마지막 칸을 모두 포함해서 계산한다. 입력 조건 첫째 줄에 두 정수 N, M (4 = m: continue # 괴물이 있는 경우 무시 if graph[nx][ny] == 0: continue # 해당 노드를 처음 방문하는 경우에만 최단 거리 기..

코딩테스트 2021.06.10

[DFS/BFS] 실전 문제 <3> 음료수 얼려 먹기 /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테스트다 with 파이썬 / 파이썬 Python

음료수 얼려 먹기 N X M 크기의 얼음 틀이 있다. 구멍이 뚫려 있는 부분은 0, 칸막이가 존재하는 부분은 1로 표시된다. 구멍이 뚫려 있는 부분끼리 상, 하, 좌, 우로 붙어 있는 경우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때 얼음 틀의 모양이 주어졌을 때 생성되는 총 아이스크림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다음의 4 x 5 얼음 틀 예시에서는 아이스크림이 총 3개 생성된다. 00110 00011 11111 00000 0 0 1 1 0 0 0 0 1 1 1 1 1 1 1 0 0 0 0 0 입력 조건 첫 번째 줄에 얼음 틀의 세로 길이 N과 가로 길이 M이 주어진다. (1

코딩테스트 2021.06.10

[파이썬 Python] 탐색 알고리즘 : DFS (깊이 우선 탐색) / BFS (너비 우선 탐색)

탐색 (Search) 탐색이란 많은 양의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 과정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탐색 알고리즘으로는 DFS, BFS 가 존재하는데,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스택, 큐, 재귀함수를 알아야 한다. 참고 2021.05.27 - [자료구조] - [자료구조] 자료구조 기초 : 스택 / 큐 / 재귀함수 [자료구조] 자료구조 기초 : 스택 / 큐 / 재귀함수 탐색 (Search) 탐색이란 많은 양의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 과정을 의미한다. 대표적인 탐색 알고리즘으로는 DFS, BFS 가 존재하는데,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스택, 큐, 재귀함수를 알 devmath.tistory.com 참고 2021.05.27 - [자료구조] - [자료구조] 그래프 (Graph) [자료구조] 그래프 ..

[자료구조] 그래프 (Graph)

그래프 (Graph) 그래프는 노드(Node) 와 간선(Edge)으로 표현된다. 노드 (Node) : 정점(Vertex) 간선 (Edge) : 정점과 정점을 연결하는 선 그래프 탐색 그래프 탐색이란 하나의 노드를 시작으로 다수의 노드를 방문하는 것이다. 두 노드가 간선으로 연결되어 있다면 ' 두 노드는 인접하다 ' 라고 표현한다. 프로그래밍에서 그래프는 크게 2가지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인접 행렬 (Adjacency Matrix) 인접 리스트 (Adjacency List) 인접 행렬 (Adjacency List) 인접행렬 방식은 2차원 배열로 그래프의 연결 관계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파이썬에서는 2차원 리스트로 구현한다. 노드 사이의 간선이 가진 값은 가중치라고한다. 자기자신끼리는 가중치가 0이고,..

[자료구조] 자료구조 기초 : 스택 / 큐 / 재귀함수

자료구조 (Data Structure) 자료구조란 데이터를 표현하고 관리하고 처리하기 위한 구조를 의미한다. 대표적으로는 스택, 큐가 존재하는데, 삽입, 삭제 두 핵심 함수로 구성된다. 삽입 (Push) : 데이터를 삽입 삭제 (Pop) : 데이터를 삭제 오버플로 (Overflow) : 특정 자료구조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이미 가득 찬 상태에서 삽입 연산을 수행할 때 발생한다. 즉, 저장공간보다 데이터가 많을 때 발생한다. 언더플로 (Underflow) : 특정 자료구조에 데이터가 전혀 들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삭제 연산을 수행할 때 발생한다. 스택 (Stack) 스택은 한 쪽 끝에서만 데이터 삽입/삭제가 가능한 선입후출 구조(LIFO - Last In First Out)으로 되어 있다. 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