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춘> 격정적으로 사는 것

밤을 새고 공부한 다음 날 새벽에 느꼈던 생생한 환희와 야생적인 즐거움을 잊을 수 없다

코딩테스트

[그리디 Greedy] 05. 볼링공 고르기 / 파이썬

수학도 2021. 8. 12. 13:15

그리디 (Greedy)

현재 상황에서 가장 좋아 보이는 것만을 선택하는 알고리즘

 


볼링공 고르기

난이도 ★☆☆  풀이시간 30분  시간제한 1초

 

A, B 두 사람이 볼링을 치고 있습니다. 두 사람은 서로 무게가 다른 볼링공을 고르려고 합니다. 볼링공은 총 N개가 있으며 각 볼링공마다 무게가 적혀 있고, 공의 번호는 1번부터 순서대로 부여됩니다. 또한 같은 무게의 공이 여러 개 있을 수 있지만, 서로 다른 공으로 간주합니다. 볼링공의 무게는 1부터 M까지의 자연수 형태로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N이 5이고, M이 3이며 각각의 무게가 차례대로 1, 3, 2, 3, 2일 때 각 공의 번호가 차례대로 1번부터 5번까지 부여됩니다. 이대 두 사람이 고를 수 있는 볼링공 번호의 조합을 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번, 2번), (1번, 3번), (1번, 4번), (1번, 5번), (2번, 3번), (2번, 5번), (3번, 4번), (4번, 5번)

 

결과적으로 두 사람이 공을 고르는 경우의 수는 8가지입니다. N개의 공의 무게가 각각 주어질 때, 두 사람이 볼링공을 고르는 경우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세요.

 

입력 조건

  • 첫째 줄에 볼링공의 개수 N, 공의 최대 무게 M이 공백으로 구분되어 각각 자연수 형태로 주어집니다. (1 ≤ N ≤ 1,000, 1 ≤ M ≤ 10)
  • 둘째 줄에 각 볼링공의 무게 K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순서대로 자연수 형태로 주어집니다. (1 ≤ K ≤ M)

출력 조건

  • 첫째 줄에 두 사람이 볼링공을 고르는 경우의 수를 출력합니다.

입력 예시1

5 3 
1 3 2 3 2

출력 예시1

8

 

입력 예시2

8 5 
1 5 4 3 2 4 5 2

출력 예시2

25

 


모범코드

# 볼링공 개수, 공의 최대 무게
n, m = map(int, input().split())
data = list(map(int, input().split()))

# 1부터 10까지의 무게를 담을 수 있는 리스트
weights = [0] * 11

for x in data:
    # 각 무게에 해당하는 볼링공의 개수 카운트
    weights[x] += 1

count = 0
# 1부터 m까지의 각 무게에 대하여 처리
for i in range(1, m + 1):
    n -= weights[i]  # 무게가 i인 볼링공의 개수(A가 선택할 수 있는 개수) 제외
    count += weights[i] * n  # B가 선택하는 경우의 수와 곱하기


print(count)

 

 

모범코드 + 설명 추가

# 볼링공 개수, 공의 최대 무게
n, m = map(int, input().split())
data = list(map(int, input().split()))

# 1부터 10까지의 무게를 담을 수 있는 리스트
weights = [0] * 11

for x in data:
    # 각 무게에 해당하는 볼링공의 개수 카운트
    weights[x] += 1

count = 0
# 1부터 m까지의 각 무게에 대하여 처리
for i in range(1, m + 1):
    print('step', i, 'A가 무게가', i, '인 공을 선택')
    print('A가 선택할 수 있는 경우의 수 = 무게가', i, '인 볼링공의 개수 = weights[i] =', weights[i])
    n -= weights[i]  # 무게가 i인 볼링공의 개수(A가 선택할 수 있는 개수) 제외
    print('B가 선택할 수 있는 경우의 수 = 남은 볼링공 중 무게가 i가 아닌 볼링공의 개수 = n - weights[i] = ', n)
    count += weights[i] * n  # B가 선택하는 경우의 수와 곱하기
    print('step', i, '수행결과 : A가 선택할 수 있는 경우의 수 * B가 선택할 수 있는 경우의수 = ', weights[i] * n)
    print('현재까지 가능한 총 경우의 수 = ', count, '\n')

print(count)

내 코드

from itertools import combinations

# 볼링공 개수, 공의 최대 무게
n, m = map(int, input().split())
weights = list(map(int, input().split()))

w = list(combinations(weights, 2))

count = len(w)
for i in w:
    # 두 공의 무게가 같으면
    if i[0] == i[1]:
        count -= 1

print(count)

 


 

모범 코드 해설

 

step 0 (초기 단계)

n = 5

m = 3 
data = [1, 3, 2, 3, 2]

weights = [0, 1, 2, 2]  

 

 

step 1 (A가 무게가 1 인 공을 선택)


A가 선택할 수 있는 경우의 수 = 무게가 1 인 볼링공의 개수 = weights[i] = 1
B가 선택할 수 있는 경우의 수 = 남은 볼링공 중 무게가 i가 아닌 볼링공의 개수 = n - weights[i] =  4
step 1 수행결과 : A가 선택할 수 있는 경우의 수 * B가 선택할 수 있는 경우의수 =  4
현재까지 가능한 총 경우의 수 =  4 

(1번, 2번), (1번, 3번), (1번, 4번), (1번, 5번)
※ 1번 : 무게1 , 2번 : 무게 3, 3번 : 무게 2, 4번 : 무게 3, 5번 : 무게 2

 

step 2 (A가 무게가 2 인 공을 선택)


A가 선택할 수 있는 경우의 수 = 무게가 2 인 볼링공의 개수 = weights[i] = 2
B가 선택할 수 있는 경우의 수 = 남은 볼링공 중 무게가 i가 아닌 볼링공의 개수 = n - weights[i] =  2
step 2 수행결과 : A가 선택할 수 있는 경우의 수 * B가 선택할 수 있는 경우의수 =  4
현재까지 가능한 총 경우의 수 =  4 + 4 = 8 

(1번, 2번), (1번, 3번), (1번, 4번), (1번, 5번), (2번, 3번), (2번, 5번), (3번, 4번), (4번, 5번)

 

step 3 (A가 무게가 3 인 공을 선택)

 

A가 선택할 수 있는 경우의 수 = 무게가 3 인 볼링공의 개수 = weights[i] = 2
B가 선택할 수 있는 경우의 수 = 남은 볼링공 중 무게가 i가 아닌 볼링공의 개수 = n - weights[i] =  0
step 3 수행결과 : A가 선택할 수 있는 경우의 수 * B가 선택할 수 있는 경우의수 =  0
현재까지 가능한 총 경우의 수 =  8 + 0 =

(1번, 2번), (1번, 3번), (1번, 4번), (1번, 5번), (2번, 3번), (2번, 5번), (3번, 4번), (4번, 5번)



참고

2021.07.13 - [자료구조 알고리즘] - [알고리즘] Greedy Algorithm 탐욕 알고리즘 / 파이썬

 

[알고리즘] Greedy Algorithm 탐욕 알고리즘 / 파이썬

탐욕 알고리즘 (Greedy Algorithm) 최적 해를 구하는데 사용되는 근시안적인 방법 탐욕적이라는 말은 '현재 상황에서 지금 당장 좋은 것만 고르는 방법'을 의미한다. 그리디 알고리즘을 이용하면 매

devmath.tistory.com

 

출처

나동빈,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테스트다 with 파이썬』, 한빛미디어(주), 2020년

2019 SW 마에스트로 입학 테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