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춘> 격정적으로 사는 것

밤을 새고 공부한 다음 날 새벽에 느꼈던 생생한 환희와 야생적인 즐거움을 잊을 수 없다

코딩테스트/프로그래머스

[Programmers] 코딩테스트 연습 > 스택/큐 > 기능개발 Python

수학도 2021. 5. 18. 14:08
  • 기능개발

문제 설명

프로그래머스 팀에서는 기능 개선 작업을 수행 중입니다. 각 기능은 진도가 100%일 때 서비스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

또, 각 기능의 개발속도는 모두 다르기 때문에 뒤에 있는 기능이 앞에 있는 기능보다 먼저 개발될 수 있고, 이때 뒤에 있는 기능은 앞에 있는 기능이 배포될 때 함께 배포됩니다.

먼저 배포되어야 하는 순서대로 작업의 진도가 적힌 정수 배열 progresses와 각 작업의 개발 속도가 적힌 정수 배열 speeds가 주어질 때 각 배포마다 몇 개의 기능이 배포되는지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제한 사항

  • 작업의 개수(progresses, speeds배열의 길이)는 100개 이하입니다.
  • 작업 진도는 100 미만의 자연수입니다.
  • 작업 속도는 1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
  • 배포는 하루에 한 번만 할 수 있으며, 하루의 끝에 이루어진다고 가정합니다. 예를 들어 진도율이 95%인 작업의 개발 속도가 하루에 4%라면 배포는 2일 뒤에 이루어집니다.

입출력 예

progressesspeedsreturn

[93, 30, 55] [1, 30, 5] [2, 1]
[95, 90, 99, 99, 80, 99] [1, 1, 1, 1, 1, 1] [1, 3, 2]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첫 번째 기능은 93% 완료되어 있고 하루에 1%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7일간 작업 후 배포가 가능합니다.
두 번째 기능은 30%가 완료되어 있고 하루에 30%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3일간 작업 후 배포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전 첫 번째 기능이 아직 완성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첫 번째 기능이 배포되는 7일째 배포됩니다.
세 번째 기능은 55%가 완료되어 있고 하루에 5%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9일간 작업 후 배포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7일째에 2개의 기능, 9일째에 1개의 기능이 배포됩니다.

입출력 예 #2
모든 기능이 하루에 1%씩 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이 끝나기까지 남은 일수는 각각 5일, 10일, 1일, 1일, 20일, 1일입니다. 어떤 기능이 먼저 완성되었더라도 앞에 있는 모든 기능이 완성되지 않으면 배포가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5일째에 1개의 기능, 10일째에 3개의 기능, 20일째에 2개의 기능이 배포됩니다.


1. 나의 구상

 

검정색 글씨 : 내가 생각한 풀이

빨간색 글씨 : 내가 생각한 풀이를 더 좋은 풀이로 만드는 방법

 

 

우선 필요할 것 같은 변수와 어떤 자료구조를 사용할건지 쭉 나열해서 써 본다.

  • 배포 순서대로 리스트에서 빼야함 → queue의 pop(0) 사용하면 되겠다.
  • days : 작업 완료까지 걸리는 일 수

 

사용하지 않을 것 같은 변수는 다시 지워주고, 이 변수들을 이용해 어떤 흐름으로 코드를 짤 건지 적어본다.

  1. days 에 작업일을 미리 다 계산해서 담아둔다.
  2. 현재 index 를 0 으로 설정하고 현재 인덱스의 작업일보다 큰 일수를 가진 인덱스 찾는다.
  3. 두 인덱스의 차이 (= 배포 개수) 를 answer 에 담은 후 현재 index를 갱신한다.

  

 

2. 코드

 

코드 이미지

import math

def solution(progresses, speeds):
    answer = []

    # 작업완료까지 걸리는 작업일을 먼저 전부 계산해서 리스트에 담아둔다.
    days = [math.ceil((100-p) / s) for p, s in zip(progresses, speeds)]

    index = 0 # 현재인덱스

    for i in range(len(days)) :
        if days[index] < days[i] :      # 현재 인덱스의 작업일보다 큰 작업일이 나오면
            answer.append(i - index)    # 둘의 차이(배포 개수)를 추가 
            index = i                   # 현재 인덱스를 갱신
            
    answer.append(len(days) - index)    # 갱신된 인덱스부터 마지막 인덱스까지의 개수

    return answer

 

 

3. 다른 코드들 (프로그래머스 모범답안들)

 

3-1. 

코드 이미지

코드

def solution(progresses, speeds):

    answer = []
    day = 0         # 작업 일수 (배포 날짜)
    count = 0       # 배포된 작업 개수

  # 100 % 인지 확인하는 식 : progresses(현재 작업진도) + day(걸린 일수) * speeds(작업 속도)

    while len(progresses) > 0 :

        if ( progresses[0] + day * speeds[0] ) >= 100 :     # 작업진도가 100% 이상이면

            progresses.pop(0)                               # 작업진도 리스트와
            speeds.pop(0)                                   # 작업속도 리스트에서 삭제한 후
            count += 1                                      # 배포 개수 1 증가

        else :

            if count > 0 :                                  # 현재는 작업진도가 100% 이상이 아닌데, 앞에서 배포할 작업이 있었다면
                answer.append(count)                        # 배포개수를 answer 리스트에 담아준 후
                count = 0                                   # 초기화

            day += 1                                        # 다음 날짜 작업을 확인하기 위해 작업 일수에 하루를 더해줌

    answer.append(count)                                    # 마지막 배포된 작업들에 대해서 append 를 실행하지 않고 while문을 빠져나왔기 때문에 처리해줘야함

    return answer

 

 

3-2. 

 

코드 이미지

코드

def solution(progresses, speeds):

    Q=[]    									# 이중리스트 [[작업일수, 배포개수]]
    
    for p, s in zip(progresses, speeds):
       
       if len(Q)==0 or Q[-1][0]<-((p-100)//s):  # 맨 처음(공백 리스트)이거나 현재 작업일수가 이전 작업일수보다 크면 
            Q.append([-((p-100)//s),1])         # Q에 현재작업일수와 배포개수(1) 추가
       
       else:
            Q[-1][1]+=1                         # 이전 작업일수보다 작으면 이전작업일수에 해당하는 배포개수 1 증가
    
    return [q[1] for q in Q]                    # 이중리스트에서 배포개수들만 리스트형으로 반환

 

코드 이해를 위한 부가 설명

 

 

//   : 나누기 연산 후 소수점 이하의 수를 버리고, 정수 부분의 수만 구함 (Python)

수직선

소수점 이하의 수를 버리고 정수 부분의 수만 구한다는 뜻은 수직선을 기준으로 바로 왼쪽에 있는 정수를 구한다는 뜻이다.

  • 2.5에서 소수점 이하의 수를 버리고 정수 부분의 수만 구하면 2가 된다.
  • -2.5에서 소수점 이하의 수를 버리고 정수 부분의 수만 구하면 -3이 된다.

 

 

-((p-100)//s) 를 사용한 이유

  • p = 30 , s= 30 이다.
  • p-100 = 30 - 100 = -70
  • (p-100)//s = -70//30 = -3
더보기

-70/30 = -2.3333333333333335

-70//30 = -3

  • -((p-100)//s) = -(-3) = 3

즉, -((p-100)//s) 를 사용하면 올림하는 함수(math.ceil) 의 사용없이 한줄로 짧게 연산할 수 있다.

 

 

알고리즘 설명

출처: 프로그래머스 코딩 테스트 연습, https://programmers.co.kr/learn/challenges